동양화확주식회사

  • HOME
  • CONTACT US
  • 회사소개
    • 대표이사인사말
    • 회사연혁
    • 경영방침
    • 찾아오시는 길
  • 제품소개
    • 염료/안료/반응성 염료
    • 필름
    • 잉크 및 마스티지
  • 연구개발
    • 연구소 소개
    • 연구소 업무 FLOW
    • 실험실장비현황
  • 유관기관
    • 양정고등학교
    • 부산진여자고등학교
    • KIWA CHEM IND. (Dyestuff Division)
    • KIWA CHEM IND. (Film Division)
  • 고객지원
    • MSDS(물질안전 보건자료)
    • Contact us
  • 염료/안료/반응성 염료
  • 필름
  • 잉크 및 마스티지
프린트
필름
bg

KIWALIFEKIWACALKIWAJET


승화형 열전사란?열전사의 장점특징REFLECTIVE






bg

승화형 열전사란?


승화형 열전사란?

승화형열전사는 어페럴업계에서 발달된 기술이다.
사인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열전사도 T셔츠등에 그림을 프린터하여 넣는것과 같은 형태로 고온을 가하여 승화잉크를 메디아에 염착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후가공이 없어도 내수성이 높게되고 천에 오염된 것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 메디아에 내후성처리를 함으로써 내후성을 높일수도 있다.



bg

열전사의 장점


어느 소재에도 같은 방법으로 전사가 가능하다.

어느 소재에도 같은 방법으로 전사가 가능하다.

전사지와 메디아를 붙여 열전사기로 고온을 가하여 전사시키는 것으로 전사시간은 전사기의 성능과 메디아에 따라 다르나 짧게는 1분, 길어도 5~10분(진공프레스형)정도이다. 칼라프로필은 보통의 잉크젯프린터와 같이 소재에 따라 다소의 변화를 주어야 하는 작업은 있으나, 그외는 시간과 온도만 조절하여 알루미늄, 스텐레스, 타일, 목재, 각종필름 등 어떤 메디아에도 같은 방법으로 전사작업을 할 수 있다.


저가의 메디아로 저단가를 실현

저가의 메디아로 저단가를 실현

열전사메디아는 잉크젯프린터의 메디아와 달리 잉크흡수층이 필요없으므로 저가이다. 알루미늄, 스텐레스, 목재는 물론 천, 각종필름이 이에 해당된다. 열전사는 잉크젯프린터형태의 직접인쇄보다 전사작업이라는 공정이 더 필요하나 잉크젯프린터와 달리 라미네이트등의 후가공이 필요없다. 전처리된 메디아의 잉크흡수층에 잉크를 밀어넣는 것이 아니라 소재안에 직접 잉크를 침투시킬 수 있게 메디아측에 내후처리를 한것으로 후가공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사가 종료되면 제품이 완성되는 것이다. 또 실크인쇄나 스크린 인쇄와 가이 제판이 필요없으므로 저단가가 가능하다.


사무실을 공장으로 사용가능, 환경이 깨끗해짐

사무실을 공장으로 사용가능, 환경이 깨끗해짐

대형 용제계 잉크젯프린터와 달리 제조공정에 용제계재료는 일절 사용하지 않으므로 강한 악취는 거의나지 않는다. 크기도 대, 중, 소는 물론 장소도 사무실을 바로 작업장으로 할 수 있고, 또 투자설비로 비교적 적게 든다. 제품을 파기시킬때는 저온에서 연소시켜도 유해물질을 배출시키지 않게 배려하였으며, 금속류의 메디아등은 전사시킨 것을 그대로 용해시켜 재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메디아가 되도록 하였다.



사무실을 공장으로 사용가능, 환경이 깨끗해짐



백라이트 필름

백라이트 필름

화상이 분리되는 필름의 접착면에 나타나는 독특한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열전사 작업만하면 분리필름을 떼어 창내부에서 붙일 수 있고 분리필름은 투명하고 매끈하여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백라이트 필름

백라이트 필름

화상면의 뒷면에 잡착제가 있어 통상의 잉크젯필름처럼 사용된다. 물론 라미네이팅은 필요없다.


투명필름

투명필름

잉크젯출력등에서는 불가능한 방수, 고내광, 고농도, 투명성을 가지는 필름이다. 염료특유의 투명색상으로 투과성이 있는 깨끗하고 아름다운 화상의 표현이 가능하다. 투명하므로 바닥의 소재감을 나타낼수가 있으며 한면에 접착제가 있어 라미네이트 없이 앞, 뒤면 어느쪽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Blackthrough 필름

Blackthrough 필름

플름에 구멍처리가 되어있어 유리등에 붙이면 밖에서는 화상이 보이고 안에서는 밖이 보이는 구조이다. 이런 형태의 잉크젯용이나 정전용과 비교하면 내후성, 시공성(라미네이트 필요없음)이 매우 우수하다. 표면접착제형, 뒷면접착제형이 있다.


재귀반사 Sheet

재귀반사 Sheet

교통표지등에 사용되는 재귀반사형 sheet의 전사형이다. 잉크는 투명성이 있어 모든 색상에도 반사가 되므로 주차장등의 야간운전 등은 물론 여러가지 용도로도 가능한 광고표지판이 된다.


알루미늄판

알루미늄판

뚜께 0.5mm의 백색바탕판으로 모든색상의 그래픽으로 사용할 수 있어 옥내외 광고표지판등으로 적합하다. 시공시 아크릴 등의 기판제작이 필요없으므로 시간이 단축되고 초보자도 쉽게 붙힐 수 있다.


스텐레스판

알루미늄판

뚜께 0.5mm, 1mm의 판으로 승화잉크의 투명감으로 바탕의 질감을 생상하게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실크인쇄등에서는 불가능했던 참신함이 있는 디자인이 가능하다. 또 1mm 판에는 유리구슬을 배합한 미끄럼방지형도 있어 바닦의 마루판에서 마우스판까지 다양하게 쓰일 수 있다.


bg

특 징


선명한 화상표현
수지층내부에 분자레벨정도로 확산되어 승화성염료 특유의 발색 메카니즘에 의해 열전사되는 화상에는 은염사진과 같은 선명한 아름다움이 나타납니다.

우수한 내수성
열전사에 의한 직사지상의 승화성염료잉크를 필름내부에 확산시키는 방식이므로 일반의 잉크젯 화상필름과 같은 흡수층을 필름표면에 만들 필요가 없다. 내수성에 대한 문제발생은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우수한 옥외사용 내후성
종래에는 장기간의 옥외노출등의 내후성이 필요한 경우, 투과광농도가 나오지않으면 정전플로트출력이나 안료잉크를 사용한 잉크젯출력을 하였으나 그 방법으로도 1년정도였다. 그러나 KIWA 전사필름은 바깥면에 불소필름층이 있어 열전사된 승화염료잉크가 불소층을 통과하여 하부의 투명필름층에 정착되는 구조이므로 색상은 2중의 필름층으로 보호된다. 그러므로 라미네이트없이 그대로 사용되어도 5년이상의 옥외내후성을 가진다.

강한 표면내구성
불소수지특유의 초내후성으로 필름표면은 우수한 내광성, 내열성, 내유성, 내약품성, 내오염성을 가진다. 이런 특징으로 KIWA 전사필름은 옥외환경등에서 제품에 붙여져 장기간 위험사항이나 조작순서등을 확실히 표시해야하는 용도등에 적합하다. 필름표면은 열전사후에도 투명함있는 양호한 광택을 유지한다.

골든필름같은 고농도
종래의 프린터출력방식에서는 어떠한 전용필름을 사용해도 은염사진의 골든필름과 견줄만한 농도는 불가능하였으나 KIWA 전사필름은 가능하다. 승화성염료의 확산현상과 특수한 표면처리필름이 어우러져 골든필름과 같은 고농도의 실현이 가능하다.

DAY/NIGHT 필름성
독특한 필름구조로 야간에 백라이트가 없어도 선명한 농도의 화상을 나타내므로 반사광에 의해 인식되는 형태의 필름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점포나 사무실의 유리창에 붙히면 주간 또는 야간의 점등시 내외부의 밝기차이에 의해 내부전등형태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bg

REFLECTIVE


Sheeting #8231
Sheeting #8231



Sheeting
Sheeting



KIWAJET #8404, #8403
KIWAJET #8404, #8403

KIWAJET #8404, #8403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감대로 192번길 60-49(학장동)   전화 : 051-324-6611~4   팩스 : 051-323-3098   E-mail : dyp@dyp.co.kr   
COPYRIGHT(C) 2020 DONG YANG CHEMICAL CO., LTD. ALL RIGHT RESERVED.